경제용어 - 스태그플레이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금융 문맹 탈출에 도움을 드립니다. 스태그플레이션 영어로: stagflation 스태그플레이션이란? (뜻, 정의) 스태그내이션 (stagnation:경기 침체)과 인플레이션(inflation:물가상승)을 합성한 용어 국민소득의 증가세가 축소되는 경기 침체 - 실업률 상승 전반적인 물가 수준이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인플레이션 이 두 가지가 동시에 발생하는, 즉 저성장 고물가 현상을 말한다. 스태그플레이션 발생 원인 각종 원자재 가격 상승과 석유, 천연가스 등의 에너지 가격 상승은 기업들의 생산비용에 많은 부담을 주고 이러한 생산비용 증가는 물가 상승의 원인이 된다. 또한 높은 생산 비용과 임금을 감당하기 어려운 기업들이 고용을 감소하거나 폐업하면서 일자리..
경제용어 - 애그플레이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금융 문맹 탈출에 도움을 드립니다. 애그플레이션 영어로: Agflation 애그플레이션이란? (뜻, 정의) 농업이라는 뜻의 Agriculture와 인플레이션(inflation)의 합성어로 농산물 가격의 급격 한 상승이 일반 물가의 상승을 일으키는 현상을 말한다. 애그플레이션 발생 원인 3가지 지구 온난화와 이상 기후 등으로 인한 농작물 생산량 감소 급격한 도시화로 인한 농경지 축소 및 농가수 감소 등으로 인한 농작물 생산량 감소 옥수수, 사탕수수 등을 이용한 바이오연료 개발 및 육류 소비 증가에 따른 곡물 수요 증가 등으로 농산물에 대한 수요가 폭등 애그플레이션 사례 - 옥수수 옥수수에서 대체연료 에탄올을 생산하는 경우가 늘어남 옥수수를 원료로 생산하는..
경제용어 - 실질임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금융 문맹 탈출에 도움을 드립니다. 실질임금 영어로: real wage 실질임금이란? (뜻, 정의) 근로자가 노동의 대가로 받는 임금을 화폐액으로 표시한 것을 명목임금이라 하고, 이를 소비자물가지수(CPI)로 나눈 것이 실질임금이다. 명목임금 (nominal wages) - 물가의 상승은 고려하지 않고 단순히 현재 받는 돈을 기준으로 임금을 표시한 것 실질임금 구하는 공식 명목임금/소비자물가지수*100 = 실질임금 실질임금을 구하는 이유 명목임금으로 실제 재화와 서비스를 구입할 수 있는 수량 즉, 구매력을 측정하기 위함 물가상승률이 명목임금상승률보다 더 높으면 실질임금은 오히려 줄어들어 실제 구매력은 감소하게 된다. 물가상승률 ≒ 명목 임금 상승률 - 실질..
경제용어 - 경제고통지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금융 문맹 탈출에 도움을 드립니다. 경제고통지수 고통지수란 무엇인가? (뜻, 정의) 영어로: Misery Index 소비자물가상승률과 실업률을 더한 값에서 실질 국내총생산 증가율을 뺀 값으로 1975년 미국의 경제학자 오쿤(A. Okun)이 국민의 삶에 실업률과 물가상승률이 큰 영향을 준다는 점에 착안하여 최초로 고안되었다. 국민의 삶의 질을 측정하기 위한 지표이나 국가별로 물가상승률이나 실업률을 계산하는 방법이 다르기 때문에 이를 절대적 비교지표로 활용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미국의 경제연구기관 WEFA와 IMF는 물가상승률과 실업률의 합을 고통지수로 측정해 매년 국가별로 발표하고 있고, 이는 통상적인 고통지수 계산 방법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 수치가 ..
경제용어 - 소비자물가지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금융 문맹 탈출에 도움을 드립니다. 소비자물가지수(CPI) 영어로: consumer price index 소비자물가지수란? 소비자가 구입하는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 변동을 측정하기 위한 지표로써 일반 가구가 소비생활을 유지하기 위하여 구입하는 각종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 변동을 종합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소비자물가지수의 변동률로 인플레이션을 측정할 수 있다. 소비자물가지수 작성 방법 지수 기준 연도를 100으로 하여 통계청에서 작성 조사대상 상품 및 서비스의 구성과 가중치도 경제상황에 맞게 조정 40여 개의 가계의 총소비지출에서 구입 비중이 큰 500여 개의 상품 및 서비스 품목을 대상으로 조사된 소비자 구입 가격 기준 소비자물가지수의 문제점 소비자들이..
경제용어 - 레버리지효과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금융 문맹 탈출에 도움을 드립니다. 레버리지 효과 영어로: leverage effect 레버리지 효과란? (뜻, 정의) 금융기관이나 타인으로부터 빌린 돈을 가지고 투자를 하여 이익을 발생시키는 것을 말한다. 차입금을 지렛대(lever)로 활용하여 이익을 창출한다는 의미로 지렛대 효과라 부르기도 한다. 투자에서 가격변동률보다 몇 배 많은 투자수익률이 발생하려면, 즉 레버리지 효과가 나타나려면, 투자액의 일부가 차입금(부채)으로 마련되어야 한다. 총투자액 중에서 부채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커지면 레버리지 효과는 증가하게 된다. ‘양날의 검’ 레버리지 투자 이와 같이 레버리지에 의해 손익이 확대되는 효과가 발생하므로 레버리지는 ‘양날의 검’에 비유되기도 한다. ..
경제용어 - 뮤추얼펀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금융 문맹 탈출에 도움을 드립니다. 뮤추얼펀드 영어로: mutual fund 뮤추얼펀드란? 여러 투자자들이 자금을 모아 투자 회사를 설립해 주식이나 채권 등 파생금융상품에 투자한 후 그 운용수익을 투자자들에게 배당금의 형태로 나누어주는 투자신탁이다. 뮤추얼펀드 특징 이때 투자자는 유가증권을 자신이 직접 매매하는 것이 아니라 전문 펀드매니저가 운용하는 간접 투자방식이다. 뮤추얼펀드 장단점 장점 분산투자가 용이하다. 펀드매니저가 운용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다방면 분석 및 리서치가 투자에 반영된다. 유동성이 좋다. 단점 미래 수익률이 보장되지 않아 손해를 볼 수 있다. 상대적으로 수수료가 높다. 뮤추얼펀드와 상장지수펀드 (ETF) 차이점 공통점: 여러 투자자들의..
경제용어 - 헤지펀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금융 문맹 탈출에 도움을 드립니다. 헤지펀드 영어로: Hedge Fund 헤지펀드란? “High Lisk, High Return” 개인을 대상으로 모집한 자금을 고수익 또는 위험회피 등을 목적으로 국제증권시장이나 국제 외환시장에 투자하는 사적투자조합 또는 투자계약을 말한다. 헤지란 ‘쐐기를 박는다’라는 뜻으로 쐐기를 박아 가격이 움직이지 않도록 하는, 위험회피 또는 위험분산 의미이지만 헤지펀드는 위험회피보다는 투기적인 성격이 더 강하다. 헤지펀드 뮤추얼펀드 차이점 뮤추얼펀드 다수의 소액투자자 대상 (공모) 공개모집 펀드 주식, 채권 등 비교적 안전성이 높은 상품에 투자 헤지펀드 소수의 고액투자자 대상 사모 투자자본 상장주식, 채권, 환율, 파생상품 등 단기적..
경제용어 - 한계비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금융 문맹 탈출에 도움을 드립니다. 한계비용 영어로: marginal cost 한계비용이란? (뜻, 정의) 재화나 서비스를 한 단위 더 생산하는데 들어가는 비용의 증가분을 의미한다. 한계비용=비용 증가분/생산 증가분 예로 테슬라 전기차 1대를 생산하는데 2,000만 원의 비용이 든다면 테슬라 1대의 평균 비용은 2,000만 원이다. 추가로 2대를 생산할 때 드는 비용은 3,500만 원이고, 3대는 4,900만 원이라 한다면 2대 생산의 한계비용은 (3,500-2,000) 1,500만 원, 3대째 한계비용은 (4,900-3,500) 1,400만 원이 된다. 한계비용의 변화(1,500만 원→1,400만 원)는 생산량 증가에 따른 추가 비용 변화를 의미한다. 따라..
경제용어 - 한계소비성향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금융 문맹 탈출에 도움을 드립니다. 한계소비성향 영어로: Marginal Propensity to Consume 한계소비성향이란? (뜻, 정의) 개인의 소득은 소비와 저축 나뉘고, 소비로 쓰이는 비율을 소비성향, 저축에 들어가는 비율을 저축성향이라고 한다. 한계소비성향은 추가로 발생한 소득 중에서 소비로 지출되는 비율을 가리킨다. 경제학에서 ‘ 한계’란? 특정 요소를 한 단위 변경시켰을 때 나타나는 변화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인플레이션과 같은 물가상승기에는 한계소비성향이 높고 또 저소득층은 고소득층에 비하여 한계소비성향이 높은 경향이 있다. 한계소비성향 구하는 방법 (계산) 소득 증가분 △Y, 소비 증가분 △C로 하여 △C/△Y로 나타낸다. 소득 수준별로..
경제용어 - 지주회사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금융 문맹 탈출에 도움을 드립니다. 지주회사 영어로: holding company 지주회사란? 독립된 다른 회사의 주식을 소유함으로써 그 회사의 사업내용을 지배하는 것을 주된 사업으로 하는 회사이며, 홀딩스 또는 모회사라고도 한다. 지주회사 요건 2가지 (공정거래법 규정) 당해 회사 자산 총액 중 자회사 지분 가액 비중이 50% 이상일 것 자산이 5,000억 원 이상 일 것 지주회사 종류 순수지주회사: 사업을 영위하지 않고 다른 기업의 사업내용 지배만을 목적으로 함 사업지주회사: 자기만의 사업을 영위하면서 다른 기업의 사업내용을 지배함 경제뉴스 속 지주회사 출처: 가격 매력 높아진 지주사…'만년 저평가' 꼬리표 떼나– 한경코리아마켓 (22.05.16) 김한이..
경제용어 - 스톡옵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금융 문맹 탈출에 도움을 드립니다. 스톡옵션 영어로: stock option 스톡옵션이란? 기업이 임직원들에게 일정 수량의 자기 회사 주식을 일정한 가격으로 매수할 수 있는 권리를 부여하는 제도를 말한다. 이는 일정한 권리 조건이 충족되면 소유주가 권리를 행사할 수 있는 파생금융상품의 옵션과 같으며 증권 옵션 이라고도 불린다. 그리고 이 권리는 어느 시점이 지나면 사라진다. 종업원 주식매수선택권 (employee stock option) = 스톡옵션 기업의 고용주가 근로자에게 발행하는 것으로 이를 부여받은 임직원은 일정 기간이 지나면 일정 수량의 자사 주식을 매입 또는 매도할 수 있는 권한을 갖는다. 인센티브 스톡옵션 종업원 주식매수선택권을 가진 근로자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