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스뱅크 파킹통장 vs 정기예금, 이자 비교 해봄

    토스뱅크 파킹통장과 정기예금 중 어디에 돈을 넣어야 이자가 더 쏠쏠할까? 금리 비교부터 전략까지 간결하게 정리했다.

     

    요즘 토스뱅크, 왜 다들 쓸까?

    간편한 UX, 빠른 속도, 높은 이율. 토스뱅크는 앱 하나로 송금부터 예금까지 끝내는 2030 세대의 필수 앱이 됐다.

    특히 ‘파킹통장’과 ‘단기 예금 상품’의 금리가 웬만한 시중은행보다 높다는 점이 인기 요인이다.

    2025년 4월 기준, 토스뱅크 파킹통장의 연 이자율은 1.80%, 6개월 정기예금은 연 2.50%로, 단기 자금 운용 수단으로 둘 다 주목받고 있다.

    항목 파킹통장 정기예금
    금리 연 1.5% 연 2.5%
    유동성 높음 낮음
    이자 지급 시점 매일 예치 시 선지급
    적합한 자금 운용 단기 자금 중장기 자금

     

     

    1. 파킹통장은 언제 유리할까?

    파킹통장은 언제든 입출금이 가능하다. 따라서 ‘당장 쓰진 않지만 묶어두긴 애매한’ 돈을 넣기에 적합하다.

    자유로운 자금 흐름이 중요한 사람에게 이자 + 유동성을 모두 제공한다.

    단점은 명확하다. 복리 효과가 낮고, 매일매일 단리로 계산되는 만큼 큰 금액을 오래 두기엔 아쉬운 수익률이다.

     

    2. 정기예금은 언제 유리할까?

    정기예금은 자금을 일정 기간 ‘고정’시켜야 한다. 반환 기간 이전에 찾으면 이자가 거의 없거나 손해를 볼 수도 있다.

    하지만 이율은 파킹통장보다 확실히 높다. 같은 기간, 같은 금액이라면 정기예금이 더 많이 준다.

    예를들어, 500만 원을 6개월 맡긴다면 파킹 통장은 약 45,000원, 정기예금은 약 62,000원의 이자를 제공한다.

     

    3. 어떤 선택이 이득일까?

    파킹통장 = 유동성 중시, 정기예금 = 수익률 중시 단기 여유 자금은 파킹, 목표성 자금은 예금이 유리하다.

    그리고 두 상품은 경쟁 관계라기보단 ‘조합’의 대상이다.

    (예: 생활비 + 급여 일부는 파킹 통장에, 결혼자금은 예금에)

     

     

    경제 용어 정리

    파킹통장이란?
    입출금이 자유로우면서 일정 수준의 이자를 제공하는 통장. 일시적인 자금 보관에 유리하다.

    정기예금이란?
    일정 기간 돈을 묶어두고 상대적으로 높은 이자를 받는 금융 상품. 중도 해지 시 이자가 거의 없다.

    단리란?
    원금에 대해서만 이자를 계산하는 방식. 복리에 비해 수익률이 낮다.

     

    함께 읽으면 좋은 글

    ※ 본 글은 투자 참고용이며, 최종 투자 판단과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728x90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