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대선 앞두고, 지역화폐가 다시 뜨는 이유는?
- 생활 경제
- 2025. 5. 10.
2025년 대선을 앞두고 지역화폐가 다시 주목받고 있다.
정치권은 지역화폐 예산을 둘러싸고 치열한 공방을 벌이고 있으며, 이는 지역 경제와 소상공인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번 글에서는 지역화폐의 현황과 실질적인 효과, 그리고 정치적 논쟁을 살펴본다.
지역화폐가 다시 뜨는 이유
1. 정치적 이유: 2025 대선, 체감형 복지 경쟁
정당별로 지역화폐를 체감형 경제 정책으로 활용하고 있다. 단발성 현금보다 지역 순환 효과가 높은 정책이라는 점에서 주목받는다.
2. 경제적 이유: 소상공인 매출 침체
코로나 이후 회복되지 않은 골목상권과 자영업 매출을 지역화폐가 회복시킬 수 있는 도구로 평가되고 있다.
3. 행정적 이유: 정부 지원 축소, 지자체의 자구 노력
중앙정부의 지원이 줄어드는 가운데, 경기도·전북 등은 도비·시군비로 자체 발행을 확대하며 적극적인 방어에 나섰다.
지역 경제에 미치는 구체적 영향
1. 지역 내 소비 유도 → 상권 고정
지역화폐는 해당 지자체 내에서만 사용 가능해, 외부 소비 유출을 막고 전통시장과 골목상권으로의 소비를 유도한다.
2. 전통시장·소상공인 실매출 증가
사용처 제한으로 인해 지역 내 소비가 집중되며, 기존 신용카드 중심 소비 패턴과 차별화된다.
3. 유동성 확대 및 소비 여력 상승
10% 충전 인센티브 등으로 소비자는 더 많은 구매력을 얻게 되고, 이는 다시 지역 내 유통망으로 순환된다.
4. 지역 일자리 방어 효과
상권 유지 → 폐업 방지 → 일자리 유지로 이어지며, 인구 유출 억제에도 간접 효과를 미친다.
실증 데이터로 본 효과
- 경기도 발행 목표: 4.7조 원 (도비+시군비)
- 전북 전통시장 상인 매출: 비참여 상인 대비 1.4배
- 지역화폐 재사용 의향: 사용자 65%
- 지자체 대응: 70% 이상이 자체 예산으로 발행 유지
경제용어 정리
지역화폐: 특정 지역 내에서만 사용 가능한 화폐로, 지역 경제 활성화를 목적으로 발행된다.
도비/시군비: 지방자치단체가 자체 편성해 사용하는 예산. 중앙정부 예산과 별도로 집행된다.
체감형 복지: 직접적인 생활비 지원이나 할인 혜택을 통해 국민이 실질적으로 ‘느끼는’ 복지 정책.
※ 본 글은 생활 정보 제공 목적이며, 최종 정책 판단과 선택은 독자의 판단에 따릅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생활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학원비가 내 통장을 턴다 경기도 가구 기준 지출 현실 (2) | 2025.05.12 |
---|---|
우리도 이제 월세 사는 세대? 신혼·육아가구의 현실 (0) | 2025.05.11 |
애플페이 2년 차, 신한은 안되고 아직도 현대카드만 되는 이유 (2) | 2025.05.09 |
IRP로 퇴직금 굴려? 연금 전략, 다시 짜야합니다 (0) | 2025.05.09 |
알뜰폰 갈아타고, 월 5만 원 생기는 통신비의 비밀 (0) | 2025.05.08 |